분류 전체보기 (100) 썸네일형 리스트형 #02 Kafka 설치 & Zookeeper 실행 ( window 10 ) 들어가기 전 Kafka를 대부분 docker에 설치해서 사용을 한다고 하는데 이번 포스팅과 실습은 windows10 에 직접 설치하고 command를 이용해서 Producer & Consumer 테스트를 할 예정이다. 본 포스팅은 서버스터디 장 승민님이 작성한 글을 바탕으로 테스트 후 작성했다. https://manglog.tistory.com/89 [20210516] Windows에 Kafka 설치하기 Kafka는 Docker에 설치하거나 Windows에 바로 설치할 수 있다. Docker에 설치하려면 Docker도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하고, Docker는 윈도우pro 버전 이상, Mac os에서 사용가능하다. 현재는 Mac을 사용할 수 없는 manglog.tistory.com Index Kafka 다.. #01 Kafka / Zookeeper 알아보기 Kafka 란 ? 하루에 1조4천억 건의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LinkedIn이 개발한 내부 시스템으로 시작했으나, 현재 이는 다양한 기업의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갖춘 오픈소스 데이터 스트리밍 솔루션이 되었다. Kafka는 실시간으로 기록 스트림을 게시, 구독,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분산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이는 여러 소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고 여러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설계되었고 간단히 말해,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A지점에서 Z지점을 비롯해 필요한 모든 곳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고 한다. 탄생배경 실시간 트랜잭션(OLTP) 처리와 비동기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통합된 전송영역 부재로 인한 시스템 복잡도 증대. 시스.. 20210516 - 한주의 시작 ! 공부하고 정리해야 되는 목록 서버스터디 Kafka & Zookeeper 가 무엇인지 정리하기 Kafka 설치 & Zookeeper 실행 Kafka와 1주차에 만들어 놓은 Spring boot 연동하기 topic 테스트 수행하기 알고리즘 문제 풀어서 블로그 & 깃헙에 정리 개인공부 Effective Java - "#02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블로그 정리 Effective Java - "#03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블로그 정리 JPA - "#02 패러다임의 불일치" 블로그 정리 #01 SQL을 직접 다룰 때 발생하는 문제점 Index 반복 그리고 반복 SQL에 의존적인 개발 JPA와 문제 해결 반복 그리고 반복 개발자는 당연히 단순하게 반복되는 일이 있다면 이를 자동화 하거나 반복되지 않아도 되는 일이라면 반복을 피하는 방법을 선택 할 것이다. JPA뿐 아니라 우리는 매일매일 개발을 하면서 느끼고 있다. 더군다나 김영한님의 JPA책에서 이야기 하는 대형 SI프로젝트는 더더욱이 그럴 것 같다. 무수히 많은 화면을 개발하면서 수백개의 테이블에 해당하는 CRUD를 생성하고 혹시라도 설계가 변경되면 해당 테이블과 관계있는 소스를 모두 찾아서 변경을 해야만 하는 매우 귀찮은 일이 생기게 된다. SQL에 의존적인 개발 하나 예를 들어보자! 고객의 요청으로 화면의 고객 정보를 추가해서 보여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하지만 고객정보가 새로.. #0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학습 요약 정적 팩터리 메서드 ( static factory method) 란? 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생성자보다 좋은 장점 다섯가지 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생성자보다 좋지않은 장점 두가지 정적 팩터리 메서드 ( static factory method) 란? 클래스의 인턴스를 얻는 전통적인 public 생성자가 아닌 객체 생성의 역할을 하는 클래스 메서드라는 의미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new 키워드가 아닌 해당 클래스의 메서드로 객체생성을 할 수 있다. 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생성자보다 좋은 장점 다섯가지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 생성자에 넘기는 매개변수와 생성자 자체 만으로는 반활될 객체의 특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하지만 정적 팩터리는 클래스와 다른 이름을 지을수 있기 때문에 이름.. 카카오프렌즈 컬러링북 문제설명 : 출판사의 편집자인 어피치는 네오에게 컬러링북에 들어갈 원화를 그려달라고 부탁하여 여러 장의 그림을 받았다. 여러 장의 그림을 난이도 순으로 컬러링북에 넣고 싶었던 어피치는 영역이 많으면 색칠하기가 까다로워 어려워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림의 난이도를 영역의 수로 정의하였다. (영역이란 상하좌우로 연결된 같은 색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그림에 몇 개의 영역이 있는지와 가장 큰 영역의 넓이는 얼마인지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위의 그림은 총 12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넓은 영역은 어피치의 얼굴면으로 넓이는 120이다. 입력 형식 입력은 그림의 크기를 나타내는 m과 n, 그리고 그림을 나타내는 m × n 크기의 2차원 배열 picture로 주어진다. 제한조건은 아래와 같다. 1 오늘도 수고했어!! 요즘 공부, 일, 운동을 병행 하느라 아무래도 스트레스가 많이 쌓인 것 같다. 사랑하는 와이프한테 약간 짜증섞인 말투로 이야기를 해버림... 아... 왜그랬지.... 늦은 나이에 PC로는 게임만 할 줄 았았던 내가 개발을 시작하고 정말 코더가 아닌 엔지니어로서 떳떳하게 성장하기 위해서 하루하루 달려보고 있지만... 생각보다 쉽지는 않은 것 같다. 사실 개발 적성은 너무 잘 맞아서 어떤 개발이든 재밌게 완성하고 뿌듯해 하는데... 잘나가는 IT회사는 그냥 개발만 잘 해서는 안되는 것 같았고... 사용하고 있는 기술을 왜 사용하고 어디에 언제 사용하는지 조금 더 깊이있게 이해하는 개발자를 원하고 있는 것 같았다... T자 인재가 되어야 되는데 나는 너무 수평적인 ㅡㅡㅡㅡㅡㅡ 요딴식의 기술을 쌓아 왔었다. 인.. #03 JPA의 등장 EJB2로 개발을 하던 Gavin king은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고 무거웠으며 테스트도 어려웠던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편하게 만들고 싶어서 만들었는데 그 이름이 Hibernate 였다.그리고 Hibernate의 인기가 치솟아 오르자 Java 진영에서 Gavin king을 불렀고 이렇게 JPA 가 탄생하게 된다. JPA (Java Persistent API) 란 자바 ORM 기술에 대한 표준 명세를 의미한다. 또한 JPA는 ORM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모아둔 것이며, 이를 구현한 Framework인 Hibernate, EclipseLink, DataNucleus 가 있고 Spring 에서는 대부분 Hibernate를 사용하는 것 같다. Spring에서 JPA를 사용할 때는 이 구..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