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base sns login 네번째 시간!! 오늘은 지난(#03)시간에 설정한 Firebase Admin SDK를 이용해서 카카오 로그인 및 Firebase auth등록을 진행한다.
Index
- developers.kakao.com 접속, 애플리케이션 추가 및 카카오 로그인 설정
developers.kakao.com 접속, 애플리케이션 추가 및 카카오 로그인 설정
1. https://developers.kakao.com/ 로 접속 > 내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 추가
2. 앱 이름 , 사업자명 입력 및 저장
3. 내 애플리케이션 ( test_sns_login ) 선택 > 플랫폼 설정하기
4. Web 플랫폼 등록하기 ( web 플랫폼은 localhost 로 넣어도 인식가능 )
사이트 도메인은 우리가 테스트할 Spring boot 서버를 입력해주면 된다. ( Spring boot 서버를 기동하고 실제 기동된 port번호를 붙여주면 된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8080 port로 기동된다.
참고 - port번호를 모르겠다면 지난시간에 만들어 놓은 Spring boot 서버를 기동하고 port번호를 확인한다.
5. 내 애플리케이션 > 제품 설정 > 카카오 로그인 > 활성화 설정 > 활성화
6. Redirect URI 등록 ( 해당 url은 flutter 클라이언트앱 에서 kakao로 전송해주는 redirect url이므로 localhost 로 넘겨주면 인식이 안된다. !! ** 꼭 command 에 들어가서 ipconfig 명령어로 ip주소 확인 후 세팅해야 된다.** )
입력한 Redirect URI로 카카오에서 사용자의 로그인이 성공하면 인가코드( Authorization code )를 넘겨준다.
7. 동의항목 설정 > 닉네임 : 필수
8. 동의항목 설정 > 카카오계정(이메일) : 선택필수(필수로 하려면 실제 사업자 필요하기 때문에 테스트에서는 선택동의)
developers.kakao.com 에서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기 위한 사전 준비는 끝!
너무 길어지는 관계로 설정만 정리했다. 다음 포스팅 에서는 실제로 카카오로그인 후 인가코드/accessToken/user정보를 가져오는 코드를 작성할 예정이다. ( Spring boot 서버와 클라이언트앱 두곳에서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
'Dart & Flutter > Firebase auth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base auth + Spring boot + FLutter 사용자 등록 및 로그인 완료 #06 (6) | 2021.07.01 |
---|---|
Flutter + Spring boot 연결 및 카카오 로그인 연동 (인가코드/Access token/ user info ) #05 (0) | 2021.06.29 |
Kakao 로그인을 위한 Spring boot + Firebase Admin SDK 설정 #03 (0) | 2021.06.26 |
Firebase - Google 로그인 / 로그아웃 #02 (4) | 2021.06.24 |
Firebase_auth - Android 설정 (windows10/VSCode) #01 (0) | 2021.06.22 |